배달 앱 '깃발꽂기'가 부른 무한경쟁
현재 치킨업계 '치킨게임' 진원지는 배달 앱이다. 오프라인 치킨 가맹점의 영업지역은 본사가 지정해 준다. 매장별 상권 보호를 위해 인구수나 가구 수를 기준으로 영업범위가 정해진다. 하지만 배달 앱이 생기면서 상권분배가 깨졌다. 배달의민족의 경우 매장과 가까운 곳의 주문자 화면에 해당 매장이 먼저 노출되도록 하는 울트라콜(깃발) 광고상품을 월 8만8,000원에 운영 중인데, 일부 업체가 가짜 주소를 여러개 등록하는 이른바 '깃발꽂기'로 배달지역을 마구 늘리는 게 시발점이 됐다.
심지어 동일한 브랜드도 무한경쟁 중이다. 깃발꽂기에만 매달 100만원 가까운 돈을 쓰는 매장들도 나왔다. 가맹점들의 매출 부진은 본사 가맹사업에 타격을 주는 악순환을 낳는 데다, 브랜드 입지 확보를 위해 배달 앱들과 공동으로 진행하는 '반값 치킨' '0원 치킨'과 같은 할인 행사 비용도 계속 지출되는 구조다.
이런 출혈경쟁에 따른 피해가 치킨업계 내부로 돌아간다는 건 공공연한 비밀이다. 한 치킨 프렌차이즈 본사 관계자는 "보통 할인행사 비용을 본사가 다 부담한다고 주장하는 업체도 알고 보면 가맹점으로부터 걷는 마진율이 애초에 경쟁사보다 높게 설정돼 있다"며 "결과적으로 할인 이벤트가 잦을수록 가맹점과 본사 광고비 부담이 커지게 된다"고 말했다.
먹방 한 편에 수천만원… "연예인 못지않아"
유튜브 마케팅도 상당한 지출을 차지한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치킨 브랜드들은 뒷광고 논란 이후 광고 효과가 확실한 '빅 인플루언서'에 집중하거나 대놓고 광고임을 드러내는 이른바 '앞광고' 콘셉트의 유튜브 콘텐츠 제작 지원에 나서고 있다. 최근 BBQ는 방송인 황광희가 진행하는 유튜브 예능 '네고왕'에 윤홍근 제너시스BBQ 회장이 직접 출연까지 한 뒤 브랜드 호감도뿐 아니라 매출까지 상승하는 효과를 거뒀다.
구독자가 많은 유튜버이거나 영상에 제품 노출 비중이 클수록 광고 단가는 훨씬 높아진다. 업계 관계자는 "유재석, 전지현 등 톱 연예인을 광고모델로 쓰다 유튜버 광고를 하면 마케팅비를 아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그렇지 않다"며 "구독자 100만 이상 유튜버 광고비만 편당 4,000만~5,000만원"이라고 전했다.
유독 낮은 직영점 비율도 문제
광고와 판촉 비용 상승은 숫자로도 확인된다. 국내 치킨 톱3 브랜드인 교촌치킨(76억3,509만원)과 BHC(82억6,336만원), BBQ(182억4,495만원)의 지난해 광고선전비와 판촉비는 약 341억4,300만원을 기록했다. TV 및 디지털 광고를 비롯해 각종 할인 프로모션 비용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2010년(158억9,200만원)보다 2배 이상 늘었고, 브랜드별 비용을 뜯어보면 광고선전비는 최대 141%, 판촉비는 최대 1,270% 폭증했다.

치킨 빅3 광고선전비 및 판매촉진비 추이
브랜드 이미지를 챙기는 마케팅에만 몰두해 상품 및 서비스 본원적 경쟁과 멀어지는 행태는 다른 업종 대비 유독 낮은 직영점 비중 문제와도 맞닿아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19년 말 기준 외식업종 가맹 사업의 평균 직영점 비율은 4.28%인 반면, 치킨 업종은 0.81%에 그쳤다. 치킨점 1,000개 중 8개꼴로 직영점이고 나머지는 가맹점이라는 얘기다.
가맹점 의존도가 높을수록 건전한 시장 경쟁과 멀어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진국 한국개발연구원(KDI) 시장정책연구부 연구위원은 "직영점을 운영하며 상품과 서비스 시장성을 검증해야 사업 불안정성과 위험 등을 줄일 수 있다"며 "가맹점에만 의존하면 가맹비, 로열티, 교육비 등 가맹점들을 통한 수익성 확보만 집중해 오히려 개별 점포들이 성장하기 힘들 수 있다"고 말했다.
맹하경 기자 hkm07@hankookilbo.com
한국일보가 직접 편집한 뉴스 네이버엣도 보실 수 있습니다.
October 13, 2020 at 02:30AM
https://ift.tt/36Y6rOc
연예인에 붓던 돈, 유튜버로…끝없는 치킨업계 '치킨 게임' - 한국일보
https://ift.tt/37nSozI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연예인에 붓던 돈, 유튜버로…끝없는 치킨업계 '치킨 게임' - 한국일보"
Post a Comment